65세 기준에서 70세로 옮겨? ‘노인의 정의’가 만든 삶의 사각지대
1. 정년은 지났는데, 노인은 아니라니요
직장을 떠난 지 몇 년이 지났다. 정년은 60세였고, 그 무렵까지만 해도 이 나이면 노인 대접을 받는 게 당연한 줄 알았다.
그런데 요즘은 그게 아닌 모양이다. 이제 나이 예순둘을 넘어 주민센터에 기초연금 상담을 받으러 갔는데, 들려온 말이 그랬다. "앞으로 기준이 70세로 바뀔 수도 있어서요."
그 말을 듣고는 그냥 멍해졌다. 일할 곳도 없고, 은퇴자산도 빠듯한데, 나라에서는 아직도 나를 '노인'으로는 안 본단다.
영진약품 두뇌 인지력 포스파티딜세린 분말 스틱 식약청인증 PS 두뇌건강 11종 기능성, 30g, 2개 -
현재 별점 5.0점, 리뷰 705개를 가진 영진약품 두뇌 인지력 포스파티딜세린 분말 스틱 식약청인증 PS 두뇌건강 11종 기능성, 30g, 2개!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기타건강식품 제품들을 확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 혜택은 멀고, 현실은 가까이 있다
무임교통? 몇 해 전만 해도 가능했지만, 요즘은 슬그머니 기준을 바꾸겠다는 말만 돈다. 기초연금은 신청해 보려 했는데, 70세로 늦춰질 수 있으니 기다려야 한단다. 노인일자리도 몇 번 도전해 봤지만, 자리도 없고 몸도 못 따라준다.
그래서 생각했다. 나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는 걸까.
정년은 60세였고, 복지는 70세부터라면 그 사이 10년은 누가 책임지는 건가. 평생을 일하며 국민연금도 꼬박꼬박 냈는데, 지금 받는 건 쥐꼬리 정도이고, 남짓. 그 돈으로는 공과금 내고 병원 몇 번 가고 나면 끝이다. 그런데 기초연금마저 늦춰진다니, 이건 너무하다는 생각이 든다.
3. 숫자 뒤에 가려진 사람들의 이야기
정책은 항상 평균과 수치를 말한다. 건강수명이 늘었다느니, 평균 수명이 길어졌다느니 한다. 그래서 노인 기준을 올려야 한다고들 말한다. 하지만 실제 사람들의 삶은 그런 평균에 맞춰 살아지지 않는다.
요즘은 병원 갈 일이 잦아지고, 하루에 한 번씩 허리를 주무르게 된다. 몸은 분명 예전 같지 않다. 육체노동은 힘들고, 정신노동은 갈 데가 없다. 자식한테 손 벌리기도 미안하고, 내가 가진 것도 이제 거의 바닥이다. 그런 상황에서 복지를 뒤로 미룬다는 건, 그저 '버텨라'는 말밖에 더 되겠는가.
4. 복지는 선택이 아니라, 같이 사는 약속이어야 한다
정부는 말한다. 재정이 부족하다고. 지속 가능한 복지로 가야 한다고. 다 맞는 말이다. 그런데 그 재정을 맞춘다는 게, 사람들의 삶을 줄이겠다는 방식이면 그건 정책이 아니라 포기다.
우리는 낀 세대다. 부모 세대는 혜택을 받았고, 자식 세대는 아직 기회가 있다. 그런데 우리는 아무 데도 속하지 못한 채 어정쩡한 곳에 서 있다.
복지를 줄이기 전에, 정부는 먼저 국민에게 설명해야 한다. 왜 그런 결정을 하는지, 어떤 대안이 있는지. 복지는 숫자로 줄 세우는 게 아니라, 신뢰로 만들어지는 거다.
하루한장 건강노트 치매예방 학습지 액티브 시니어 뇌운동 워크북 - 퍼즐/스도쿠 | 쿠팡
쿠팡에서 하루한장 건강노트 치매예방 학습지 액티브 시니어 뇌운동 워크북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퍼즐/스도쿠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5. 도대체 나는 언제 노인이 되는 걸까
가끔 그런 생각이 든다. 나는 이제 어디에 속하는 사람일까. 일도 못 하고, 돈도 없고, 혜택도 받지 못하는 나 같은 사람은, 대체 뭐라고 불러야 하나.
은퇴는 했고, 몸도 지쳤는데, 아직 노인은 아니라니. 그 말이 계속 머릿속을 맴돈다. 이건 그냥 서운함이 아니라, 마음 깊은 데서 올라오는 질문이다.
나는 은퇴했는데, 노인은 아니라는 말인가?
다음은 [2편] 남은 건 10년의 공백뿐으로 이어집니다.
'정책 제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편. 정책은 숫자를 조정했지만, 사람의 존엄까지 잘랐다 (1) | 2025.04.25 |
---|---|
2편. 남은 건 10년의 공백뿐 (3) | 2025.04.24 |
[6최종편] 공공요금 현실화 논란, 정부가 책임져야 할 몫은? (0) | 2025.04.23 |
[5편] 교통요금 인상, 다음은 버스인가? (0) | 2025.04.22 |
[4편] 지하철 정기권, 진짜 혜택인가? (2) | 2025.04.22 |